봉차트
ㅇ 주가 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나타내는 봉으로 구성되어 있어 봉차트라고 합니다.
ㅇ 봉차트는 전세계 분석가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가격분석 차트입니다.
봉은 시가(장시작 가격), 고가(장중 최고가격), 저가(장중 최저가격), 종가(장마감 가격)를 표시하고 막대 모양으로 그립니다.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은 매수(사자)세력과 매도(팔자)세력이 힘을 겨룬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봉은 일정한 기간 동안 두 세력이 힘을 겨룬 과정과 그 결과를 그래프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국인이나 기관에 비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힘이 약한 일반투자자들은 봉차트를 읽고 매수세력과 매도세력 중 어느 쪽이 강한지를 파악한 뒤 강한 쪽에 투자를 해야만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ㅇ 봉은 몸통과 꼬리로 구성
몸통 : 시가와 종가로 구성됩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올랐을 경우 양봉(붉은색)이라 하고, 시가보다 종가가 떨어졌을 경우 음봉(청색)이라 합니다.
꼬리 : 장중에 시가나 종가를 벗어나는 가격을 나타냅니다. 위꼬리는 양봉일 경우 종가보다 높았던 가격을 나타내고, 음봉인 경우엔 시가보다 높았던 가격을 나타냅니다. 아래꼬리는 양봉일 경우 시가 이하로 떨어졌던 가격을 나타내고, 음봉의 경우 종가보다 더 낮았던 가격을 표시합니다.

양봉 :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끝난 경우로 붉은색으로 그립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높다는 것은 매수세력이 매도세력에 비해 강하여 시가에 비해 상승하였다는 뜻입니다.

위꼬리가 달린 양봉 → 매수세력이 강했지만 장중에 매도세력의 저항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양봉 → 장중에 한때 밀리던 가격이 매수세력의 지지를 받아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
음봉 :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난 경우로 파란색(청색)으로 그립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낮다는 것은 매도세력이 매수세력에 비해 강하여 시가에 비해 하락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꼬리가 달린 음봉 → 장중에 매수세력이 상승을 시도했으나 매도세력에 의해 좌절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음봉 → 장중에 매수세력의 저항을 받아 추가 하락이 저지 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ㅇ 봉의 종류와 그 의미
봉은 형태와 색깔에 따라 크게 양봉, 음봉, 도지로 나눌 수 있는데, 차트를 보면 같은 양봉과 음봉이라도 저마다 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차트에 나타나는 다양한 봉의 형태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1│양봉
1) 긴 양봉
시가 대비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경우로 매수세력이 시장을 장악했다는 의미입니다.

2) 짧은 양봉
몸통이 짧은 양봉으로 위아래로 꼬리가 달린 경우도 있습니다. 매수세력이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3) 망치형 양봉
망치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 망치형 양봉이라고 합니다. 완전한 망치형이 되려면 꼬리의 길이가 몸통보다 2~3배 이상 길어야 합니다. 장중에 매도세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밀렸지만 재차 매수세력이 시장을 장악한 모양으로, 주가 하락의 마지막 국면에 곧잘 나타납니다.

4) 역망치형 양봉
몸통보다 꼬리가 2~3배 이상 되는 양봉. 추세 상승 이후에 출현하면 매물을 받은 것이므로 매도의 관점으로 보고, 추세 하락 마지막 국면에 나타나면 상승 전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2│음봉
1) 긴 음봉
시가 대비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경우로 매도세력이 시장을 장악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짧은 음봉
몸통이 짧은 음봉으로 위아래로 꼬리가 달린 경우가 많습니다. 매도세력이 강했다는 의미입니다.

3) 망치형 음봉(일명 교수형)
꼬리가 몸통보다 2~3배 이상 긴 음봉으로 교수형에 처해지는 죄수와 비슷한 모양이라 해서 교수형이라고도 부릅니다. 장중에 매수세력이 반등을 시도했던 흔적이 있으나 크게 성공하지 못한 형세입니다.
주가가 바닥권에서 출현시 반등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 주고, 주가가 천정권*에서 출현시 매도세력이 건재함을 보여준 경우로 하락이 예상됩니다.

*천정권: 주가가 상승한 후 추가 상승의 힘이 부족하여 고점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며 시간을 끌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4) 역망치형 음봉
매수세력이 상승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형국입니다. 주가가 천정권에서 출현시 하락이 예상됩니다.

봉 하나만으로 주가를 예측하는 것보다 앞뒤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봉을 보고 시장을 판단하는 것이 주가를 예측함에 있어 좀더 정확도가 높을 것입니다. 봉을 공부하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주가 추세가 반전될 것인지 아니면 지속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추세지속형
다음과 같은 모양의 봉이 출현하면 추세가 이어진다고 봅니다. 이 경우 파생상품과 현물 주식 모두 추세에 순응하는 포지션은 계속 보유하고 추세에 맞는 포지션을 추가로 설정합니다. 추세에 역행하는 포지션이라면 정리하여 현금화해 두어야 합니다.
1) 갭(GAP)
갭이란 인접한 두 개의 봉에서 한 봉의 저점이 다른 봉의 고점보다 높아 차트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갭은 매수와 매도 주문이 갑자기 불균형을 이루어 급등락할 때 발생합니다.
상승지속갭 :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호재가 발생했을 때 출현하며 상승추세가 지속된다고 봅니다. 상승갭의 공간(창)은 지지영역 역할을 하며, 지지영역이 돌파되면 추세가 반전된다고 봅니다.

하락지속갭 : 매도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악재가 발생했을 때 출현하며 하락추세가 지속된다고 봅니다. 하락갭의 공간(창)은 저항영역 역할을 하며, 저항영역이 돌파되면 추세가 반전된다고 봅니다.

ㅇ 여러 종류의 봉이 출현하였을 때 추세반전형인지 추세지속형인지를 판단하는 방법
추세반전형은 상승반전형과 하락반전형으로 나뉘고 ① 상승반전형, ② 하락반전형, ③ 추세지속형의 세가지로 구분
1. 상승반전형
하락하던 주가 흐름 중에 다음과 같은 상승반전형 연결봉이 나타나면 주가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상승반전형 봉이 출현하면 선물, 옵션, ELW와 같은 파생상품의 하락에 베팅해 둔 투자자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포지션을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주식도 매수의 관점으로 보아야 하고 매도는 보류합니다. 다만, 상승에 공격적 베팅을 할 것인지 여부는 투자 성향이 얼마나 공격적이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상승에 추가 베팅을 할 때는 연결봉 이외에도 추세선,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 MACD 같은 보조지표를 추가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상승장악형
상승장악형: 연이은 주가 하락 이후 강력한 양봉이 출현해 직전의 음봉을 덮은 경우입니다. 강력한 매수세력이 전날의 매도세력을 압도적으로 장악한 경우로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때 자주 출현합니다.

강한 상승장악형 : 하락추세에서 2~3일 종가를 모두 돌파하는 양봉이 출현하는 경우로 특히 5일 또는 1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할때는 강력한 상승 전환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약한 상승장악형 : 하락추세에서 음봉 이후 출현한 양봉이 직전 음봉의 몸통을 완전히 덮지 못하고 반 이상 덮은 모양입니다. 이때도 일단은 상승 반전을 예상하지만 다음 봉을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강세잉태형
하락하던 주가에서 긴 음봉 이후에 출현한 작은 양봉이 직전 음봉의 몸 안에 들어가 있는 모양입니다. 작은 양봉이지만 종가가 전일 고가까지 상승하였으므로 매수세력이 시장을 주도했다고 보고 상승 전환으로 예측합니다.

3) 상승망치형
하락추세에서 긴 아래꼬리가 달린 짧은 양봉(또는 음봉)이 출현한 모양으로 종가가 전일의 음봉 종가보다 더 높은 곳에 있어야합니다. 망치같이 생겼다고 해서 망치형(Hammer)이라 부르고 중요한 상승 전환으로 간주합니다. 양봉이 이상적이지만 음봉일 경우도 있고 망치를 거꾸로 둔 것과 같은 역망치형도 있지만 모두 종가가 전일의 종가 위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2. 하락반전형
상승하던 주가 흐름 중에 다음과 같은 하락반전형 연결봉이 출현하면 주가는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파생상품의 경우 상승에 베팅해 둔 투자자라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일단 포지션을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주식의 경우도 매도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고, 매수는 보류하고 시세를 좀더 관망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하락장악형
하락장악형 : 상승추세에서 강력한 음봉이 출현하여 직전의 양봉을 덮은 경우입니다. 강력한 매도세력이 전날의 매수세력을 압도적으로 장악한 경우이므로 추세가 하락으로 전환될 때 자주 출현합니다.

강한 하락장악형 : 상승추세에서 2~3일 전 종가를 모두 하락 돌파하는 음봉이 출현할 때, 특히 5일 이동평균선을 하락 이탈한 경우에는 하락 전환의 확률이 높습니다.

약한 하락장악형(흑운형) : 양봉 이후 나타난 음봉이 전일의 양봉을 부분 장악한 경우로 흑운형(검은 구름 모양)이 반복해서 나타나면 새로운 고가를 유지할 힘이 없음을 나타내주는 것입니다.

2) 약세잉태형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 이후에 직전 양봉 하단부에 음봉이 출현한 형태입니다. 매도세력이 전날의 매수세력을 압도한 형국이므로 하락 전환을 예상합니다.

3) 하락망치형(일명 교수형)
교수형 : 상승장 마지막에 아래꼬리가 길게 달린 음봉이 출현해 그 몸통이 전일 종가 위에 있는 경우입니다. 교수형 종가는 저항선이 됩니다.

양봉 망치형 : 상승추세에서 양봉 망치형이 나타나도 하락장을 예상합니다. 다만 다음 봉을 확인하여 망치형 종가가 저항선이 될 때 하락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망치형 : 상승장 마지막에 위꼬리가 길게 달린 음봉이 출현한 형태로 망치를 거꾸로 세운 모양이라고 해서 역망치형이라고 합니다. 하락장악형과 함께 하락 반전될 확률이 높은 패턴입니다


3. 추세지속형
다음과 같은 모양의 봉이 출현하면 추세가 이어진다고 봅니다. 이 경우 파생상품과 현물 주식 모두 추세에 순응하는 포지션은 계속 보유하고 추세에 맞는 포지션을 추가로 설정합니다. 추세에 역행하는 포지션이라면 정리하여 현금화해 두어야 합니다.

1) 상승삼법형과 하락삼법형
상승삼법형 : 긴 양봉 출현 이후 작은 음봉 3개(또는 2~4개)가 출현하고 이어 긴 양봉이 직전 양봉을 돌파하는 형태로, 상승이 지속된다고 봅니다.

하락삼법형 : 긴 음봉 출현 이후 작은 양봉이 2~4개 나타나고 이어 또다시 긴 음봉이 출현하여 직전 음봉을 하락 돌파하는 형태로, 하락이 지속된다고 봅니다.
[출처 : #1. 봉차트로 주식 주가 예측하는 방법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출처 : #2 봉차트로 주식 주가 예측하는 방법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